Q9. 퇴직급여,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은 얼마나 내나요?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Q9. 퇴직급여,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은 얼마나 내나요?

글 : 윤치선 / 미래에셋자산운용 디지털마케팅팀 팀장 2018-10-02

퇴직급여를 연금으로 받으면 퇴직 시점에 계산한 퇴직소득세의 70%만큼 과세된다.


얼마 전 직장에서 퇴직한 박연금(60세) 씨는 퇴직급여로 1억 원을 받으면서 1000만 원의 퇴직 소득세를 납부했다. 박 씨는 이 돈이 급하게 필요하지는 않은 상황이라, 다시 IRP 혹은 연금 저축에 이체해서 10년 동안 연 1000만 원의 연금을 받기로 했다. 박 씨가 매년 연금을 받을 때 내야 하는 세금은 얼마일까?


연금, 세금 적고 할부도 가능


퇴직급여를 IRP나 연금저축계좌로 이체하면 퇴직 소득세를 내지 않는 대신 나중에 연금을 수령할 때 연금 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 이때 연금 소득세는 퇴직 시점에 계산한 퇴직 소득세의 70%만큼 과세된다.


따라서 박 씨가 매년 내야 하는 연금 소득세는 70만 원(1000만 원 / 10년×70%)이며, 연금 수령기간 10년 동안 내야 하는 세금의 합은 700만 원이다. 퇴직 급여를 한 번에 현금으로 받았을 때 내야 하는 세금 1000만 원과 비교하면 300만 원이 절감되는 셈이다.


세금을 연금 수령기간 동안 나눠서 내는 것도 장점이다. 내야 하는 돈은 가능한 한 천천히 내는 편이 좋다. 과세가 이연 된 동안 해당 자금을 운용해서 추가적인 수익을 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간단히 생각해보자. 연금 소득세 700만 원 중 첫해에 납부하는 70만 원을 뺀 630만 원을 연금계좌 안에서 2%로 운용했다고 가정해보자. 1년만 운용해도 12만 원이 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퇴직급여에 대한 연금소득은 분리과세 대상이어서 (근로자가 연금저축·퇴직연금에 납입해 세액공제를 받은 돈과 운용수익은 연 1200만 원을 넘으면 종합과세 대상이 된다) 연금액이 많아도 종합과세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소득 원천에 따른 연금소득 세율



  3단계  

<연금 수령 시 세금 계산> 다른 질문 보러가기

Q8. 퇴직급여 수령한 것을 IRP에 넣을까? 연금저축에 맡길까?

Q10. ‘연금수령한도’가 뭐죠? 한도를 넘겨서 인출하면 세금이 어떻게 되나요?

뉴스레터 구독

미래에셋은퇴연구소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주 1회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구독 완료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 이름
  • 연락처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보기
  • 광고성 정보 수신

    약관보기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정보변경이 가능합니다.
‘뉴스레터 구독 정보변경’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정보변경 완료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구독취소가 가능합니다.

  •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