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호] 초장수 시대의 노후자산 운용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40호] 초장수 시대의 노후자산 운용

글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2019-07-16




의학기술 발전으로 수명이 늘어나면서 얼마나 오래 살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인류의 오랜 염원인 불로장생의 현실화는 환영할 일이지만, 준비되지 않은 장수는 재앙이 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초장수는 은퇴자금 부족으로 인한 노후파산 가능성과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는 고령 후기를 연장시켜 자산관리 필요성을 증가시키는데요. 은퇴자들은 현재 자신의 노후 계획이 늘어난 수명에 대응할 수 있는지 점검하고, 새로운 노후자산 운용전략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은퇴리포트40호는 초장수 시대에 맞춰 세 단계로 나눠 노후자산 운용전략을 제시했습니다.

 


먼저 고령 전·후기 자산운용을 구분한다.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동질적인 집단이 아닙니다. 만 75세 미만의 전기 고령자는 비교적 건강하고 생활자립도가 높지만, 이후가 되면 질병에 걸릴 확률이 급증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의존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고령 후기로 갈수록 노후자산을 스스로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된다. 고령 전·후기의 생활패턴이나 자립도의 차이가 크기에 노후자산 운용과 인출 방식도 달라야 한다.

 


둘째, 종신형 연금 수령은 가급적 늦춘다.


종신형 연금은 장수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좋은 수단이지만 이것만으로 노후를 준비하기는 어렵습니다. 초장수로 인한 노후자금 부족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종신형 연금 수령 시기를 늦추는 방법이 있는데요.

종신형 연금 수령을 늦추면 예상 수령 기간이 짧아지는 만큼 월 수령 연금액이 많아집니다. 수령을 늦춘 만큼 소득공백기가 길어지지만 연금수령을 늦추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오래 살수록 더 유리한 구조가 됩니다. 

 

셋째, 노후자산 ‘시간차’ 배치 모델을 구축한다.


고령 전·후기 자산운용을 구분하고, 종신형 연금 수령을 늦추는 원칙을 조합하면 시간차를 두고 노후자산을 인출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금융자산을 은퇴 초반에 전진 배치해 적극적으로 운용하면서 인출하고, 종신형 연금은 후진 배치해 수령시기를 늦춰 매월 받는 연금액을 늘리는 건데요. 금융자산과 종신연금 인출을 동시에 시작하는 경우보다 장수할수록 더 많은 소득을 얻기 때문에 초장수시대에 적합한 모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은퇴리포트40호' 확인 부탁드립니다 


뉴스레터 구독

미래에셋은퇴연구소 뉴스레터를 신청하시면 주 1회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구독 완료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 이름
  • 연락처
  • 이메일
  •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보기
  • 광고성 정보 수신

    약관보기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정보변경이 가능합니다.
‘뉴스레터 구독 정보변경’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정보변경 완료 메시지가 발송됩니다.

미래에셋 투자와연금센터 뉴스레터를 구독한 이메일 조회로 구독취소가 가능합니다.

  • 이메일